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 , C-ITS(Cligent Transport Systems)
상태바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 , C-ITS(Cligent Transport Systems)
  • 김상혁
  • 승인 2017.10.19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율 주행 시대가 도래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점차 다가오면서 자율 주행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있다. 하지만 자율 주행 시대에 들어서기 위해선 자동차뿐만 아니라 교통 환경이 전반적으로 갖춰져야 비로소 자율 주행 시대에 들어설 수 있다. 

자율 주행차가 도로를 달리기 위해 교통상황과 주변 시설물, 차량 간 정보 공유 등 다방면의 정보가 필요한데 이러한 환경을 위해 필요한 것이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 C-ITS(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 Systems)다.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과 현재 교통 시스템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정보 공유다. 

현재의 교통 시스템은 시설 및 교통 상황, 차량 이동 등의 정보를 수집해 가공하고 전달하는 흐름인 반면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은 차량과 차량, 차량과 도로, 컨트롤 타워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능동적으로 대응한다. 이는 곧 교통안전에서 효과적일 뿐 아니라 불의의 상황에서도 즉각적인 대처가가능하다. 교통혼잡에서 오는 통행 속도,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지난 2012년부터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 도입을 위해 기본계획이 수립되었고 2014년 대전, 세종권에서 시범사업에 착수하며 본격적인 행보를 시작했다. 처음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 도입 논의 때는 교통안전을 중점을 뒀으나 현재는 자율 주행차와 연계한 경제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대전, 세종 시범지역 약 81km 구간에 약 3,000대의 단말기 개발과 95개소의 인프라 구축을 위한 설비를설치했다. 180억여 원에 달하는 비용을 들여 집중적으로 테스트를 진행하는데 단순히 기술 개발과 정보습득 차원이 아니라 표준 규격, 법적 보완이 필요한 사항,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이 가져올 효과를 분석하며 효율적으로 진행했다. 

유럽이나 미국, 일본 등은 이미 2000년대 초반부터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개발하고 시범사업을 진행해 실용화까지 코앞에 다다른 상황이고 국내 차세대 기능형 교통 시스템 개발도 해외 사례에 비해 늦은감이 있으나 차근차근 진행되며 어느덧 실용화 단계로 진입하려고 한다. 지난해 자율 주행 시험운행 구간 지정 방식을 네거티브 방식으로 전환한데 이어 자동차 관리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안을 내놓았고 콜롬비아에서는 국내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벤치마킹하는 등 개발 속도와 질적인 부분에서 상당한 수준을 이뤄냈음을 짐작할 수 있다. 

2017년 현재는 국토부에서 처음 계획했던 시범사업 끝부분에 해당한다. 시범사업 간 정립했던 규격과 데이터, 분석 자료 등을 활용해 실도로에 적용시키면 연간 약 8,000억 원의 교통혼잡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것으로 예상되며 교통사고는 지금의 절반에 가까운 약 46%의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교통사고율을 보이는 만큼 체감상 수치 이상의 안정감을 줄 것으로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