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세계의 극한직업 - 분뇨수거차 편
상태바
자동차 세계의 극한직업 - 분뇨수거차 편
  • 김상혁
  • 승인 2017.09.07 17: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꽉 막힌 도로, 무분별한 끼어들기와 시끄러운 경적소리 사이를 유유히 가로지르는 자동차가 있다. 바로 정화조 차량, 흔히 ‘똥차’라고 부르는 분뇨수거차다. 비록 혐오 섞인 시선과 악취를 풍기는 이미지로 인해 도로 위에서 모세의 기적을 일으키지만 일상생활에서 없어선 안 되는 자동차 중 하나다.

농경시대에는 남의 집에서 큰 일을 보면 손해라고 생각했었다. 인분은훌룡한 거름으로 농사와 직결되는 재산 개념이었기 때문이다. 시대가 변하면서 혐오를 상징하게 됐지만 최근에는 다시 ‘똥’이 각광받는 시대가 찾아왔다. 바이오가스라고 해서 사람의 인분 및 가축 오물로 전기를 만들 수 있는 친환경 처리 기술 덕분이다. 또한 생수를 만들어내기도 하고 처리 후 남은 찌꺼기로 액체 비료를 생산하는 등 저탄소 녹색성장의 훌륭한 자원이다. 

소위 '푸세식'이라고 불리는 재래식 화장실이 주류였던 과거에는 분뇨수거차를 쉽게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정화조를 주기적으로 비우는 방식이거나 오수처리장으로 직접 흘려보내는 방식이어서 분뇨수거차가 자주 눈에 띄지는 않는다. 그 때문인지 분뇨수거차를 보면 운이 좋다는 속설이 퍼지기도 했다. 농경사회 시절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똥’에 대한 관대한 정서를 생각해보면 꽤나 설득력 있다. 꿈 해몽 같은 경우를 봐도 똥이 나오면 복권을 사라는 말이 있으니까.

이 당시의 분뇨수거차는 칙칙한 초록색에 분뇨 수거 호스에는 오물이 덕지덕지 묻어있어 미관상 좋지 않았다. 분뇨수거차 뒤편으로 정차 중인 차량이 안전거리 확보에 신경을 쓸 수밖에 없는 이유기도 했다. 행여나 호스에서 오물이라도 떨어지게 되면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번뇌에 사로잡힐 테니까 말이다.  온 마을 전체에 악취를 풍기는 것부터 시작해 간간이 들려오는 음악소리로 작업 속도도 판단할 수 있었다. 분뇨 수거차는 후진 시 동요나 클래식 음악이 흘러나오곤 했다. 분뇨수거차가 모든 작업을 마치고 돌아가면 뒤처리는 주민들 몫이었다. 오물이 제대로 차단되지 않는 분뇨수거차가 곳곳에 뿌려 놓은 '잔해'들 때문이었다. 

분뇨수거차는 버큠 탱크로리의 일종이다. 버큠 탱크로리는 차량 뒤쪽에 탱크를 달아 분뇨수거, 액체 폐기물, 유류 운반 등의 목적을 가진 차량을 일컫는다. 차량의 크기나 탱크 적재 용량 등에 따라 용도를 달리하는 특장차다. 버큠 탱크로리는 외관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액체 운반에 최적화되어 있다.

  

버큠 탱크로리는 탱크에 실려있는 액체의 종류에 따라 자칫 큰 위험을 가져올 수 있다. 살수차 같은 경우 큰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황산이나 질산 등 유독성 폐기물을 실어 나르는 경우 사고 발생 시 2, 3차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지난 2011년 경중국 광둥성 광저우시에서 분뇨수거차가 폭발한 사고가 있었다. 이 사고로 인해 악취는 물론이고 강이 오염되고 전시 돼있던 가전제품 등도 판매 및 사용이 불가능해졌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버큠 탱크로리 차량은 단단한 내구성이 요구되기도 한다. 대용량 기어펌프, 비산 차단 밸브 등 적재 성능도 높이는 것은 물론이고 탄소 함유율이 높은 강철, 스테인리스 등으로 제작한다. 분뇨수거차가 활발했던 1980년~1990년대는 국내에서도 종종 차량 수리 중 용접기 불꽃에 의한 메탄가스 폭발 등으로 인명, 화재 사고로 번지곤 했었다.

최근의 분뇨수거차는 밝은 외장 색상과 오물 누출 차단 기능, 악취방지를 위한 덮개를 설치하는 등 지속적으로 진화해 왔다. 과거의 털털거리는 '똥차'는 이제 대부분 사라졌다. 하지만 여전히 분뇨수거차를 필요로 하는 곳은 전국 도처에 산재하고 있다. 오늘도 분뇨수거차는 '남들이 하지 않지만 누군가 반드시 해야 하는' 극한 임무를 묵묵히 수행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